자소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생산 직무에서 안전에 대한 역량 ?
환경과 전공했지만 돈 많이 벌고싶어서 생산 직무로 가야겠다 싶어서 대산기(환경)외에 가스, 위험물, 산안산기 취득했습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제가 기계공학이나 화학공학쪽을 배운 것도 아니라서 직무 지원 이유에서 다른 합격자소서들과 비교해보면 참 다르긴 하네요.. 여태까지는 위 취득한 자격증 바탕으로 안전에 대한 역량을 강조하긴 했는데 다시보면 제가 생산을 쓰는 건지 안전관리를 쓰는건지 모를 정도네요.. 이렇게라도 쓰는 게 맞는 건지 회의감이 듭니다ㅠ 생신입 26살인데 언제까지고 이럴 수는 없는데 조금 답답해져서 글 써봅니다.
2024.12.17
답변 4
- 오오버더SKY한진도시가스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멘티님 아시다시피 생산 엔지니어도 안전 관련 업무를 합니다. 맡은 공정에서의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 1순위는 생산 엔지니어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할지라도 생산 엔지니어를 대표하는 업무가 안전이 될 수는 없습니다. 공정 개선을 할 수 있다는 문제해결력, 창의력, 전공능력 등등을 어필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전을 한두번 정도 키워드로 잡을 수는 있더라도, 주요 키워드로 삼을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굳이 생산만 고집해야할 필요가 없기도 합니다. 공기업을 준비하시는 것은 아니어서 사기업 위주로 말씀드리자면 환경 관련으로 민간발전사, 민간 집단에너지사, 민간 가스사 공정운영 관련으로도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유틸리티 관련으로 찾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쫑쫑롱롱기아코부장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취업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생산과 안전을 너무 이분법적으로 생각안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결국 생산직무안에서도 안전에 대한 역량이 있으면 충분히 긍정적으로 참조되어 합격하실수 있습니다. 생산에서 필요한 역량과 안전에서 여태까지 쌓아온 역량등을 공통점을 찾아 자소서에 잘 어필하면 될것 같습니다. 요새는 생산이라고해서 생산관련 직무만 파는게 아닌 T자형 인재라고해서 다방면으로 잘하지면(생산포함) 안전에 대한 전문지식이 더 깊이있으면 특색있고 융복합적인 인재이므로 더 선호합니다. 생산과 안전에 대한 전문성을 둘다 어필하면 좋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함께 읽은 질문
Q. HACCP품질관리 양성과정 도움
1개월 22일정도로 이론 및 교육을 받는 취업 연계현 직업훈련과정에 합격했습니다 거리가 많이 멀어서 고민중이긴한데 식품 품질관리 직무 희망하면 많은 도움이 될까요?
Q. 퇴사 고민
안녕하세요. 퇴사고민이 있습니다.. 1. 쉬는 날에도 업무처리에 대한 강박불안증 지속적으로 업무처리에 대한 스스로의 강박증때매 의욕도 없고 스트레스를 간헐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2. 느린 업무처리 제가 입사한지도 정말 얼마 안됐고, 처리속도가 너무 느리고 익숙치않아 사수분께 체킹하며하고 있습니다. 헌데 스스로도 업무처리가 느려서 일처리가 너무 느린게 업무 부담으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습니다. 시간이 약이라지만 눈치도 보이고... 어렵네요 버티는게 해결될까요..?
Q.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턴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턴을 지원을 하였고 오늘 결과가 나왔는데 예비 11번을 받았습니다. 총 모집인원이 23명인데 공공기관 인턴지원이 처음이라 잘 감이 안와서 포기를 하는 것이 맞는지 기대를 걸어 봐도 좋을지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